야심차게 시작한 LF 쏘나타 하체털이 3편 '프론트 스테빌라이저 부싱' 교체편입니다. 아직 교체할 부품들이 많지만, 프론트 스테빌라이저 부싱만큼 어려운건 없을것 같습니다. 아니 그래야만 합니다. 리프트 없이 바닥에 앉아서 하는 특성상 안그래도 힘든 하체털이인데, 프론트 스테빌라이저 부싱 정비성은 정말 역대급입니다. 정비성 최악의 근본 원인은 손이 들어갈 공간이 없다는게 가장 큰데, 재미삼아 한번 보시고 신중하게 고민하시고 도전하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준비물 차량을 들어올리기 위한 기본 공구는 생략했습니다. 소켓은 12mm 숏/롱소켓, 14mm 숏/롱소켓 각각 필요하고, 3/8인치 볼 조인트가 꼭! 있어야 합니다. 3/8인치 길이조절 라쳇, 토크렌치, 12mm 플렉시블 라쳇 렌치도 필요하고 일반적인 일자..
헤드라이트 전구 교체하는게 가장 일반적인 DIY 작업중 하나인데, 요즘은 광원이 LED나 레이저로 바뀌면서 셀프로 교체할 차가 점점 적어지고 있습니다. 지난번 후방 깜빡이, 주간주행등, 브레이크등 벌브에 이어서 오늘은 헤드라이트(헤드램프) 전구(벌브) 교체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설명에 앞서 아반떼AD 에서도 HID 옵션이 적용되지 않은 할로겐 타입에 대한 내용이며, 할로겐 타입의 타차종 대부분은 구조가 비슷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헤드라이트 전구 고장 현상 헤드라이트 전구가 고장나면, 계기판 중앙에 친절하게 알려줍니다. 그리고 외부에 나가서 확인해보니, 왼쪽 눈이 나간게 참 보기 좋지 않네요. 헤드라이트 전구 탈거하기 헤드라이트 안쪽의 뚜껑(더스트캡)만 제거하면 될 줄 알았는데, 공간이 많..
10만km 넘은 LF 쏘나타 승차감 회복 프로젝트인 '하체털이' 2편 입니다. 지난번 앞바퀴 활대링크 교체에 이어서 오늘은 뒷바퀴 활대링크를 교체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뒷바퀴 활대링크는 LF 쏘나타처럼 후륜 서스펜션이 멀티링크 타입인 차량들에만 적용되고, 아반떼 같은 토션빔 차량들에는 해당되지 않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준비물 뒷바퀴 활대링크는 앞바퀴와 필요한 공구가 조금 다릅니다. 수동작기, 토크렌치 외에 8mm 소켓, 17mm 롱소켓, 17mm 옵셋렌치가 필요하고 혹시나 고착되었을 경우 WD-40을 준비해주면 도움이 됩니다. ※LF 쏘나타 뒤 활대링크 순정부품 품번 : 55530-C1100(운전석), 55540-C1100(조수석) 뒷바퀴 활대링크 탈거 방법 앞바퀴와 동일하게 뒷바퀴 활대링크도 너트 2..
오랜만에 LF 쏘나타와 관련된 글을 작성하는것 같습니다. 신차로 출고후 만족하며 타고 있었는데, 10만km를 넘어가면서 초기에 느꼈던 만족스런 승차감을 거의 잃어버린게 많이 아쉬웠습니다. 그래서 신차때의 승차감을 회복시키고자 큰맘먹고 일명 '하체털이' 를 진행중입니다. 하체털이는 차량 하부에 있는 서스펜션, 고무 부싱류들을 모두 교체해줌으로써 승차감을 회복시키는 메인터넌스 작업을 말하는데, 하나씩 교체해보면서 어떻게 달라지나 느껴볼까 합니다. 거국적으로 LF쏘나타에 처음으로 교체해줄 하부 부품은 앞바퀴 '활대링크' 입니다. 활대링크의 정식 명칭은 '스테빌라이저 링크' 인데, 생김새가 활대 같아서 통상적으로 그렇게 부르는것 같습니다. 활대링크는 위아래 기다란 형상으로 상단은 쇽업쇼바에, 하단은 스테빌라이저..
아반떼AD 차량의 뒷모습을 보면 테일게이트 말고, 외측 콤비램프에 미등 겸 브레이크등(제동등) 벌브가 달려 있습니다. 점등시 낮은 광량의 미등이 먼저 들어오고, 브레이크를 밟으면 더 밝은 광량의 제동등이 한번더 들어오는 타입입니다. 얼마전까지 전혀 몰랐는데 뒤따라오던 지인이 왼쪽 브레이크등이 고장난것 같다고 알려줘서 알게 되었습니다. 방향지시등(깜빡이)은 벌브가 나가면 클러스터에 경고등을 띄워주는데, 미등 신호는 살아있고 브레이크등만 나가면 경고등이 뜨지 않나봅니다. 아무튼 미등과 겸해서 사용되는 제동등 벌브 교체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준비물 브레이크등 교체는 10mm 소켓 외에 필요한 공구가 없습니다. 전동공구나 라쳇 핸들이 있으면 되고, 새로 교체해줄 전구만 준비해줍니다. ※아반떼AD 브레이크등..
가솔린과 디젤 차량의 소모품중에서 대표적인 차이가 바로 점화플러그 입니다. 압축착화 방식의 디젤 차량에는 점화플러그가 없지만, 불꽃 점화 방식인 가솔린 차량에는 점화플러그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점화플러그의 불꽃을 발생시키는 유도 코일이 바로 점화코일인데, 과거 점화플러그 교체방법 DIY 컨텐츠에 이어서 점화코일 교체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LF 쏘나타 정비지침서상 점화코일의 정확한 교체주기가 명기되어있지 않은데, 점화플러그와 달리 최근 부품들은 20만, 30만km 까지 고장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통상적으로 점화플러그 두번 교환시 점화코일 한번 교환이라는 기준을 가지고 예방정비 차원에서 교체해주는게 좋습니다. 특히, 가솔린 터보 차량들은 자연흡기보다 이그니션 계통에 좀더 가혹조건이므로 10..
아반떼AD NVH 개선 프로젝트로 지난번 엔진마운트, 미션마운트까지 성공적으로 교체했습니다. 이제는 마지막으로 '롤로드' 교체만 남았습니다. 엔진마운트, 미션마운트와 달리 롤로드는 엔진룸에서 전혀 보이지 않습니다. 롤로드는 엔진룸이 아닌 차량 하부의 언더커버를 제거하면 보일 수 있는 위치에 숨어있습니다. 참고로, 아래에서 보시겠지만 롤로드는 서스펜션 서브프레임과 미션간에 연결된 마운트로 변속 충격을 줄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준비물 롤로드는 위치가 좀 안좋을뿐 고정된 구조도 심플해서 필요한 공구도 간소한 편입니다. 볼트와 너트를 풀기위한 14mm, 17mm 소켓과 옵셋렌치만 있으면 충분합니다. 롤로드 탈거하는 방법 엔진룸 하단 언더커버를 벗겨내면 사진과 같은 롤로드 마운팅 브라켓이 보입니다. 프론트 서스펜..
차량의 NVH 성능을 개선하는데 가장 가성비 좋고 효과가 큰 작업은 단연 엔진/미션마운트 교체 작업입니다. 지난번 엔진마운트에 이어서 미션마운트 교체편입니다. 엔진마운트와 미션마운트를 통틀어서 미미라고 부르는데, 현대/기아자동차 정비지침서상 정확한 명칭은 "트랜스엑슬 마운팅 브라켓" 입니다. 본 글에서는 간단히 미션마운트라고 지칭할 예정이고, 지난번 엔진마운트에 이어 미션마운트 교체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준비물 미션마운트와 엔진마운트 교체시 필요한 공구는 비슷합니다. 다만 아반떼AD 기준으로는 10mm 플렉시블 라쳇렌치, 1/2인치 익스텐션, 10mm/12mm 마그네틱 소켓까지 추가로 필요하니 준비해줍니다. 특히, 1/2인치 익스텐션은 250mm 길이는 필수적으로 준비해야 작업이 가능합니다. 미션..
차량의 NVH 성능 개선을 위한 여러가지 방법중에 가장 가성비 좋고 효과 확실한 부분이 바로 엔진/미션마운트 교체입니다. 하부에서 올라오는 소음/진동도 심하지만, 아이들링 상태에서 항상 진동을 유발하는 엔진에서부터 진동을 걸려주는게 운전자에게 제일 체감이 크기 때문입니다. 엔진마운트는 과거 일본식 표현으로 '미미' 라고도 불리는데, 현대/기아자동차를 기준으로 엔진 및 미션을 차체에 연결해서 진동을 줄여주는 부품이 크게 3가지 입니다. 정식 명칭으로는 엔진마운팅 서포트 브라켓, 트랜스액슬 마운팅 브라켓 그리고 롤로드 마운팅 서포트 브라켓트인데, 본문에서는 흔히 통용되는 엔진/미션/롤로드 마운트라고 칭하며 아반떼AD 디젤 NVH 성능 개선 프로젝트의 첫번째로 '엔진마운트' 교체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HID 벌브나 할로겐 대비 LED 헤드라이트의 요즘 차량들을 처음 타보면 밝은 모습에 깜짝 놀랍니다. 특히, 헤드라이트 광원에 따른 차이는 국도나 지방도로에서 그 차이가 더 큽니다. LF 쏘나타를 신차로 출고할때는 할로겐 대비 HID 벌브가 훨씬 밝아서 놀란 기억이 있는데, 이제 HID 옵션은 사라지고 할로겐과 LED만 남았다는게 격세지감이 느껴집니다. HID 헤드램프 옵션을 추가해서 야간 운전시 만족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지하주차장에서 전방 시야가 대폭 어둡게 느껴졌습니다. 아니나 다를까 확인해보니 오른쪽 대비 왼쪽 헤드램프가 분홍색/붉은색에 가까운 색으로 변색되어 있더군요. 몇일후에는 계기판에 경고 메세지까지 뜨면서 아예 점등되지 않는 상태가 되었습니다. 주행 환경에 따라 약 10만km 전후로 HID..